본문 바로가기
해외에서 육아하기/아이건강

유아 삼출성 중이염, 꼭 알아야 할 원인과 치료법

by 디노노 2025. 2. 8.

양이에 삼출액이 차있는 채로 태어난 저희 아이는 삼출성 중이염으로 만 7개월, 18개월에 환기관 삽입술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두번째 튜브가 탈락되지 않고 장기간 고정되어 있어서, 최근에 환기관(튜브) 제거술을 받았습니다.

 

두 번째 튜브를 삽입하고 물이 차지 않아서 마음 편하게 지내며 삼출성 중이염에 대해 생각해보지 않았는데요, 튜브를 제거하고 나니 또 물(삼출액)이 차면 어쩌지 하는 걱정에 여러 논문을 찾아보게 되었고, 그 내용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삼출성 중이염(Otitis Media with Effusion, OME)은 중이강* 내에 삼출액이 고이는 질환으로, 감염 없이도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유아에게 흔히 나타납니다. 이 글에서 삼출성 중이염의 개념, 발생 원인, 증상, 치료법, 그리고 성인과 유아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이강(Middle Ear)이란 고막과 내이 사이에 위치한 공기로 채워진 공간입니다.


<이미지 출처: 아산병원>

 

 

삼출성 중이염이란?

 

삼출성 중이염은 중이강 내부에 염증성 액체가 고이는 질환으로, 급성 중이염과 달리 급성 감염의 증상이 없습니다. 주로 청력 저하를 유발하며, 장기화될 경우 언어 및 학습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4). 그래서 유아 삼출성 중이염의 치료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입니다.

발생 원인

삼출성 중이염의 발생 원인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주로 다음과 같은 의학적으로 검증된 요소들이 관여합니다:

  • 이관 기능 장애: 중이강의 환기와 배출을 담당하는 이관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을 경우 삼출액이 고이게 됩니다(2).
  • 상기도 감염: 감기나 부비동염 등 상기도 감염으로 인해 이관이 부어 막히면서 중이강의 환기가 어려워집니다(1).
  • 알레르기: 알레르기 반응이 이관을 부어오르게 하여 기능 장애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3).
  • 아데노이드 비대: 비인두에 위치한 아데노이드가 커지면서 이관 입구를 막아 중이강의 환기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3).

증상

삼출성 중이염이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며, 주요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 청력 저하: 귀에 물이 찬 느낌과 함께 소리가 잘 들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이명: 귀에서 윙윙거리는 소리가 들릴 수 있습니다.
  • 이폐색감: 귀가 막힌 듯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유아의 경우 다음과 같은 행동 변화를 보일 수 있습니다:

  • TV 볼륨을 높이거나 가까이에서 시청
  • 이름을 불러도 반응이 느림
  • 산만하거나 주의 집중이 어려움

이러한 행동이 나타난다면 청력 저하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4).

치료법

삼출성 중이염의 치료 접근법은 질환의 지속 기간과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치료 전략이 사용됩니다:

  1. 경과 관찰: 대부분의 삼출성 중이염은 자연적으로 호전됩니다. 따라서 초기에는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상태를 관찰합니다(5).
  2. 약물 치료: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항생제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2).
  3. 수술적 치료: 3개월 이상 삼출액이 지속되거나 청력 저하가 심한 경우, 고막 절개 후 환기관을 삽입하여 중이강의 환기를 돕는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5).

성인과 유아의 차이점

삼출성 중이염의 발병 기전과 임상적 특징은 연령대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다음과 같은 주요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 발생 원인: 유아는 이관이 짧고 수평에 가까워 감염에 취약하며, 아데노이드 비대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성인의 경우 부비동염, 알레르기, 이관 기능 장애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3).
  • 증상 표현: 유아는 증상을 정확히 표현하기 어려워 부모의 관찰이 중요합니다. 반면 성인은 증상을 명확히 인지하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치료 접근법: 유아는 성장과 함께 이관 기능이 개선되어 자연 치유되는 경우가 많아 경과 관찰이 우선되지만, 성인은 원인 질환을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합니다(5).

관련 연구 및 논문

(1) Bacterial aetiology of chronic otitis media with effusion in children

  • 연구 내용: 소아 만성 삼출성 중이염의 세균학적 원인을 분석
  • 결과: 특정 세균이 만성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발견
  • 출처: 링크

(2) Otitis media with effusion in children: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 연구 내용: 삼출성 중이염의 병태생리,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종합 검토
  • 결과: 이관 기능 장애가 OME의 주요 원인임을 강조
  • 출처: 링크

(3) Risk factors for persistent otitis media with effusion in children

  • 연구 내용: 소아에서 지속적인 OME의 위험 요인을 분석
  • 결과: 어린이집 참석, 가족력,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 등이 위험 요인으로 확인됨
  • 출처: 링크

(4) The impact of otitis media with effusion on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ren

  • 연구 내용: OME가 소아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결과: 만성 OME가 언어 발달 지연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
  • 출처: 링크

(5) Ventilation tube treatment: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 연구 내용: 환기관 삽입술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검토
  • 결과: 환기관 삽입이 장기적인 청력 개선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임
  • 출처: 링크